전체 글(6)
-
[React] Hooks
Hook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React state와 생명주기 기능을 연동(hook into)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. Hook은 class 없이 React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. useState, useEffect와 같이 React에서 자체 지원하는 내장 Hook이 있으며, 직접 custom Hook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. Hook 사용 규칙 Hook을 사용할 때에는 두 가지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. 1. 최상위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한다. 반복문, 조건문, 중첩된 함수 내에서 Hook을 실행하면 안된다. React에서는 한 컴포넌트에서 State나 Effect Hook을 여러 개 사용할 수도 있다. function Form() { // 1. name이라는 state 변수를 사용 co..
2024.03.23 -
[프론트엔드] DOM & Virtual DOM
DOM DOM(Document Object Model, 문서 객체 모델)은 스크립트 언어로 HTML 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웹 문서를 객체화 한 것이다. HTML이 작성되는 형식을 보면 위와 같은데, 이러한 구조를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. 이를 나무 모양의 트리구조를 갖게 된다고 하여 DOM tree라고 하며, 각 요소를 노드라고 한다.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 위의 브라우저 동작 과정 그림을 살펴보면 HTML 코드로 DOM 트리를 생성하고, 이에 스타일을 조합하고, 화면에 어떻게 배치할지 정리 및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. Virtual DOM SPA 방식과 같은 페이지에서 일부만 변경하게 되더라도 일련의 과정을 모두 거치게 되므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데,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..
2024.03.22 -
[React] Props
Props란? Props는 properties의 약자로, React에서 지원하는 JavaScript 객체이다.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, props를 활용하여 부모 컴포넌트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. 사용 function Welcome(props) { return Hello, {props.name}; } function App() { return ( ); } 위 코드를 살펴보면 1. App 컴포넌트에서 Welcome 컴포넌트를 세 번 호출한다. 2. props의 name으로 각각 "Sara", "Cahal", "Edite"이라는 정보를 전달한다. 3. Welcome 컴포넌트에서는 매개변수로 받은 props에서 props.name의 정보를 가져와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.
2024.03.21 -
[React] State
State란? state는 React에서 지원하는 JavaScript 객체로, 렌더링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. useState useState를 이용하여 state와 state의 값을 수정할 수 있는 함수를 생성하고,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.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할 때, const [state, setState] = React.useState(0); // state 선언 및 초기화. 초기값: 0 "state" 자리에 state명을 넣고, "setState"에는 값을 수정할 함수명, useState의 매개변수에 초기값을 넣어 사용한다. 값을 수정할 함수명이 set + "state명"일 필요는 없다. setState function onClick() { setState((state..
2024.03.19 -
[프론트엔드] SPA(Single Page Application)
SPA 전통적인 방식의 웹 애플리케이션 방식은 각각의 페이지가 나뉘어 있어 사용자가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페이지를 불러오는 MPA(Multi Page Application) 방식과 대조되는 방식으로, SPA 방식은 사용자가 요청하는 콘텐츠를 body 태그에 불러와 동적으로 동작한다.
2024.02.27 -
[프론트엔드] HTML(Hyper Text Markup Language)
HTML 문서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문서에 추가되는 정보를 마크업이라고 하며, 책에 밑줄을 긋거나 필기를 하는 행위 등도 마크업이라고 할 수 있다. 이러한 마크업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를 마크업 언어라고 한다. HTML은 마크업 언어의 한 종류로, 웹사이트의 뼈대를 구성한다.
2024.02.27